석혜숙(2025). 대학생의 우울과 학업소진의 발달궤적에 따른 기질 및 성격 특성의 관계
안성주(2025). 노인의 죽음불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: 자아효능감과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
이다현(2025). 기질과 신체화의 관계: 정서인식명확성과 자율성을 통한 신체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
이정민(2025). 아동기 및 청소년기의 복합외상경험이 성인기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: 고통감내력 부족을 통한 삶의 의미의 조절된 매개효과
이민주(2024). 구순구개열(CLP) 후기 청소년의 지각된 부모양육태도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: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.
정용희(2024). 대학생의 불안정 성인애착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: 대인관계 문제를 통한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
공배배(2023). 소셜 미디어의 사용이 한국내 중국 유학생의 섭식장애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: 자기대상화와 외모 불안의 이중 매개효과
김현수(2023). 간접외상의 반추가 외상 후 증상 및 성장에 미치는 영향: 인지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
서지오(2023). 내면화된 수치심이 우울 및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: 경험회피를 통한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
신유림(2023). 관계 상실을 경험한 성인의 사회적 지지 혹은 사회적 제약 조건에서 지속비탄 혹은 외상 후 성장으로의 경로: 침습적 반추와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
오하영(2023). 조현병 집단의 TCI와 Big Five 성격 잠재프로파일과 증상 패턴의 분석
이문우(2023). The relationship between future orientation and career adaptability in Chinese university students: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academic procrastination
정규연(2023). 후기 청소년의 비자살적 자해와 가족표출정서,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사회적 지지 간의 관계
문경록(2023). 성별소수자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우울이 미치는 영향: 좌절된 대인관계 욕구의 조절된 매개효과와 자기자비의 이중매개효과
손다혜(2023). 코로나19 시기의 사회활동이 노년기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: 주관적 인지장애와 경도인지장애노인을 대상으로
정은실(2023). 청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살사고의 관계: 수용 행동과 자기자비를 통한 정서도식의 조절된 매개효과
김서유(2022). 노년기 알츠하이머병 신경인지장애의 인지기능 및 일상생활 기능 특성: 망상 유무 및 하위유형 중심으로
김현정(2022). 아동기 학대경험이 대학생의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: 고통감내력 부족을 통한 정서도식의 조절된 매개효과
여정미(2022). 중년여성 만학도의 학습참여동기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: 사회적 지지, 자기효능감, 삶의 의미, 성격의 영향
류나경(2021). 자기지향 및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사회불안과의 관계: 평가에 대한 두려움을 통한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
이진주(2021). Z세대의 기질과 스마트폰 과의존 간의 관계에서 부적응: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소외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
최덕호(2021). 위험회피 기질과 사회불안의 관계 : 반복적 부정사고와 탈중심화의 이중매개효과
최지은(2021). 유아의 기질유형에 따른 정서지능, 어머니 양육행동, 유아의 성격 특성
하대근(2021). 다차원적 충동성과 도박 심각도와의 관계: 고통감내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
김은혜(2020). 성차를 중심으로 살펴 본 성인애착과 이성 관계 만족의 관계 :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과 거부민감성의 다중매개효과
김윤지(2020). 초기 성인기의 사회불안과 우울의 공통 요인과 변별 요인 연구
정수동(2019). 대학생의 기질 및 성격 유형에 따른 생물심리사회적 변인의 탐색적 연구 :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중심으로
정은정(2019). 대학생의 위험회피 기질과 자살사고의 관계 : 강박성향과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
이다영(2019). 국내의 발달장애 자녀를 둔 아버지 양육참여에 관한 연구동향 : 1988년~2018년 논문을 중심으로
구민지(2019). 위험회피 기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: 정서표현양가성과 고통 감내력의 이중매개효과
김민진(2019). 기질 및 성격검사(TCI) 성격프로파일에 따른 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 연구
박슬기(2019). 위험회피기질과 사회불안의 관계 : 거부민감성을 통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된 조절효과
신희은(2019). 반추의 잠재프로파일 분류에 따른 대학생의 외상 후 성장과 인성의 연관성
이진희(2019). 완벽주의 성향 군집유형에 따른 주관적 안녕감, 기질 및 성격과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차이
김윤희(2018). 대학생의 자기애 성향과 정신건강 간의 관계: 기질 및 성격과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이 미치는 영향
배문경(2018). 유아의 기질, 부모의 기질 및 성격과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
정예림(2018). 국내 의과대학생 우울에 관한 연구동향 : 2000년~ 2017년 학위논문 및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
박소현(2018). 학교 밖 위기청소년 개입에 대한 집단상담 연구동향 : 2002년~2018년 국내 학위논문 및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
구정선(2018). 대학생의 기질 및 성격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 있어서 사회적 지지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: 사회인지진로이론의 관점에서
남귀숙(2017).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데이트 폭력 가해와의 관계 : 역기능 및 기능적 분노표현의 매개효과
박보서(2017). 중독 유형에 따른 기질 및 성격특성과 문제행동과의 관련성
이지안(2017). 지적장애인의 사회성 중재 프로그램의 체계적 문헌고찰: 1990~2017년 국내 학위 논문 및 학술지 논문 중심으로